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우리 동네에 미술관이 생긴다면 7월의 무더위 속에 사진미술관을 방문했다. 지난 5월 말에 개관한 것을 뉴스로 알게 되었고 학교 강의 시간에 그 소식을 전하다가학생들과 함께 방문하게 된 것이었다. 시립사진미술관은 국내 최초의 사진미술관이고 서울시립미술관 산하의 기관이다. 창동역 인근에 있어서 접근성이 좋았다. 인근에 아레나가 공사중인데 완공되면 이 동네가 대단히 변할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서울 시립 사진미술관 오전 11시 정도 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면서 우리나라 사진 예술 선구자들의 작품을 감상할 기회가 있었다. 우리나라 사진 예술의 선구자들이 이제야 보금자리를 갖게 된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앞으로의 다양한 전시 기획이 기대된다.이 미술관 건축도 매우 매력적이라고 생각된다. 더보기 전통적인 미디어의 생존과 새로운 성장 나는 평소에 CBS음악FM을 즐겨 듣는 편이다. 2007년부터 CBS음악FM은 ‘Less Talk, More Music’을 채널 콘셉트로 채택하면서 많은 중장년층을 고정 청취자로 끌어들이는데 성공했다. 음악방송은 젊은이들을 타깃으로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깬 멋진 사례였다. 덕분에 대형 방송사들 사이에서 청취율 1위를 다투는 프로그램을 다수 갖는 강력한 존재감을 갖게 되었다.그런데 요즘 나는 CBS표준FM의 의 청취자가 되었다. 아침 7시-9시 프로그램인데 그 시간에 듣는 것이 아니고 다른 편한 시간에 유튜브로 그 프로그램을 찾아 듣는다. 또는 9시에 라디오 방송은 끝나지만 정치 이슈가 많은 요즈음엔 유튜브로 라는 이름의 연장 방송을 듣기도 한다. 의 유튜브 구독자는 2024년 12월 150만명을 돌파했.. 더보기 #129 Any Wednesday 필자가 대홍기획 재직하던 80, 90년대에 DDB 월드와이드의 키이스 라인하드 회장이 매주 보내는 레터가 있었다. 인터넷이 없던 시절에 뉴욕에서 키이스 라인하드 회장님이 보내는 레터에는 다양한 주제가 다루어졌고 내게는 몹시 소중한 공부 자료였다. 또한 키이스 라인하드 회장은 카피라이터 출신이어서인지 그의 영어는 매력적으로 보였다. 매주마다 그 레터를 임원까지 결제 맡고 파일에 철해두었는데 나중에 내가 갖고 와서 보관하게 되었다. 키이스 라인하드 회장은 내게는 광고의 선생이님이자 영어의 선생님이었다. 그 때 매주 보내던 레터의 이름이 Any Wednesday 였는데 20년이 넘는 기간동안 매주 썼다는 대단했다.그리고 그 글들을 모아서 같은 제목으로 책이 나왔다. Any Wednesday 더보기 먹구름 가득한 AD Land 2024년 한 해가 저무는 시점에서 AD Land (광고계)를 바라보니 먹구름이 가득하다. 우선 최근 뉴스로 알려진 옴니콤그룹과 인터퍼블릭그룹의 합병을 생각해 보자. 커뮤니케이션 인더스트리의 세계 3위인 옴니콤과 4위인 인터퍼블릭이 합병하여 세계 1위의 커뮤니케이션 그룹으로 올라서게 되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하는가? 결국 이들이 생존을 위해서는 합병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는 뜻이다. 1986년에 옴니콤 그룹이 탄생할 때와 거의 같은 상황이다. 당시 미국의 경제는 매우 좋지 않았다. 일본 경제가 세계를 호령하던 시절이었다. 어려운 경제 환경에서 BBDO, DDB 그리고 Needham Harper 등 3개 광고회사가 합병하여 세계 최대의 광고회사 그룹인 옴니콤을 만들었던 것이다. 얼마 .. 더보기 #128 한국인의 기원 우리 민족의 기원은 어떻게 되는지는 상당히 궁금한 주제였다. 은 그 이야기를 해 준다. 서울대 지리학과의 박정재 교수의 저술로, SNS 광고를 통해 알게 된 책이었다. 지리학자가 이런 저서를 낸다는 것이 특이하게 생각되었다. 기후학, 고고학, 언어학, 고유전학이 다 담긴 이야기다. 어떤 부분은 학문적이고 어렵게 보이지만대게는 일반인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내용이다. 결국 기후 변화가 인류의 이동을 만들어 왔고 한민족의 형성도 기후 변화에 따른 주면 인류의 이동에 의한 것이라는 귀결이다. 은 읽는 재미가 있는 책이다. 더보기 #127 이주하는 인류 인류의 이주는 매력있는 과학 주제이다. 관련된 여러 책을 본 적이 있다. 그런데 이 책, 는 아주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의 저자는 학자가 아니라 BBC 뉴델리 특파원 출신의 저술가인 샘 밀러이다. 자기 개인의 이야기와 인류의 서사를 잘 교차해 가며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더보기 #126 포스트 매스미디어 필자가 광고계에서 현업으로 일하던 시절인 80년대부터 2010년 정도 까지는 매스미디어시대였고 특히 TV의 영향력은 압도적이었다. 광고회사의 실력은 두가지로 판정을 받은 것이나 마찬가지 였는데 첫째는 TV CF를 잘 만드는 능력이고 두번째는 TV 방송국의 인기시간대를 잘 확보하는 능력이었다. 그런데 시대가 변하더니 TV방송국이나 대형신문사들이 수입이 급감해서 쩔쩔매게 되었다. 매스미디어를 소비하던 시대가 지나간 것이었다. 는 연세대학교 김용찬 교수의 2023년 저서이다. 이 책에서 김용찬은 우리가 사는 기대를 '포스트매스미디어' 시대로 규정한다. 우리가 사는 세상, 사회를 미디어 측면에서 설명하는 능혁이 독창적이고 탁월하다. 더보기 #125 킵차크 칸국 은 내가 2024년 재미있게 읽은 책 중 하나다. 부제는 '중세 러시아를 강타한 몽골의 충격'이다. 몽고, 중앙아시아, 흑해 연안에 이르는 거대한 대륙에서 징키스칸과 그 후손이 만든 거대한 제국, 그중에서도 가장 오랜기간 지속된 킵차크칸국의 이야기이다. 미국의 관련 역사학자인 찰스 핼퍼린의 책이다. 몽고족과 투르크족의 연합인 킵차크칸국의 운영과 러시아에 끼친 영향 등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 책이다. 징키스칸의의 아들들이 다스린 칸국들 이외에도 많은 칸국들이 존재했고 티무르 제국이나 그의 후손들이 인도로 진출해서 무국제국을 세우고 경영하기도 했으니 대단한 일이다. 적은 수의 몽고 부족이 넓은 세계로 진출해서 다른 부족과 섞이면서 외모는 많이 달라졌지만 ....... 더보기 한기훈미디어커뮤니케이션스쿨 19차 과정 한기훈미디어커뮤니케이션스쿨 19차 과정이 2024년 7월 18일과 25일 두차례에 걸쳐서 교대역 인근에서 열렸다. 이번 주제는 였다. AI가 만들어 내는 거대한 변화가 다가오는 것을 분명히 느끼는 시점에서 각자의 자리에서겪거나 준비하는 변화를 발표했다. 한기훈 교수의 오프닝 존스홉킨스대학 배원정 교수의 발표 현대자동차 김동주님의 발표 첫날 참석자들 둘째날 이인균님의 첫 발표가 있었다. TBWA 최인철CD 발표 BALC 이환선 대표의 발표 둘째날 참석자들 한기훈미디어커뮤니케이션스쿨 20차 과정은 2025년 1월 예정 더보기 한기훈미디어커뮤니케이션스쿨 18차 과정 한기훈미디어커뮤니케이션스쿨 18차 과정이 2023년 7월 13일과 20일 두차례 상암동에서 욜렸다. Creators' Talk를 주제로 타이틀로 하여서 여러 멤버들의 발표가 있었다. 존스홉킨스대학 영화학과 배원정 교수의 다큐멘터리 관련 발표 TBWA코리아 최인철 CD의 최근 캠페인 관련 발표 첫날 참석자들 둘째날 한기훈 교수의 Story & Adventure 발표 엘지전자 전찬훈님의 포토그라퍼 관련 발표 한국GM 김동주님의 자동차와 크리에이티비티 관련 발표 둘째날 참석자들 그리고 8월 17일 입소스 코리아에서 별책부록 모임이 있었다. 입소스 코리아 박황례 대표의 리서치 비즈니스 관련 발표 발크 이환선 대표의 데이터 마케팅 관련 발표 별책부록 모임 참석자들 무더위와 폭우 속에서도 값진 시간을 만든 모든 .. 더보기 이전 1 2 3 4 ··· 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