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h's thought

슬로우 라이프 콘텐츠와 지방 부활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은 나라다. 출산율도 가장 낮은 편에 속한다. 우리나라 총인구도 2020년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정부 차원에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지만 백약이 무효인 듯하다. 그런데 이런 현상은 우리 만의 문제가 아니다. 유럽의 많은 나라들과 이웃 일본이 인구 감소 국가이고 중국도 지난해를 정점으로 금년부터는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은 획기적으로 늘었지만 사회적 문제 등으로 인한 정신적 질병은 크게 늘어났다. 저명한 재독 철학자인 한병철은 그의 저서 ‘투명사회’에서 21세기를 대표하는 질병을 정신병 계통의 질환으로 설명하고 있다.


“시대마다 그 시대에 고유한 주요 질병이 있다... 21세기의 시작은 병리학적으로 볼 때 박테리아적이지도 바이러스적이지도 않으며, 오히려 신경증적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신경성 질환들, 이를테면 우울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경계성성격장애, 소진증후군 등이 21세기 초기의 병리학적 상황을 지배하고 있다.” (한병철의 ‘피로사회’ 내용 중)

그렇다면 이런 신경성 질환들이 이 시대를 대표하는 고유한 질병이 된 배경에는 무엇이 있을까? 현대사회의 과도한 경쟁과 성과 중심의 조직 운영이 그 핵심 원인이 된다. 그런 면에서 우리나라는 더욱 거기에 부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탈리아의 철학자 프랑코 베라르디는 그의 저서 《죽음의 스펙터클》에서 한국 사회의 특징을 네 가지로 짚었다. ‘끝없는 경쟁, 극단적 개인주의, 일상의 사막화, 생활 리듬의 초가속화’가 그것이다. 필자의 인생을 돌이켜 보면, 위 네 가지 지적은 정말 공감 가는 이야기다. 그리고 지금의 우리 사회를 보면 더욱 그렇다는 생각이 든다. 많은 젊은이들이 성공을 위하여 밤낮없이 공부하고, 일하고, 서로 경쟁한다. 모두 서울로 모여들고, 대기업에 취업하려고 온갖 노력을 다 한다. 그리고 집장만을 위해서 많은 것을 희생하며 살기도 한다. 그런 와중에 결혼과 출산은 늦어지거나 없어진다. 분명히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고 보인다. 얼마나 많은 젊은이들이 이 경쟁에서 고통받고 있을까? 계속 그래야 할까?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2011년 ‘킨포크’라는 잡지가 발간되어서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끌었다. 가까운 이웃들과 함께 슬로우 라이프를 즐기는 삶을 부각했다. 우리나라의 영화 ‘리틀 포레스트’도 고단한 도시의 생활을 피해 고향에 내려온 주인공의 이야기다. 제주에 가서 ‘한달살기’를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자주 들린다. 이런 라이프 스타일이 확산되는 것은 분명한 추세로 보인다.

이런 분명한 움직임을 읽고 지방 도시들이 대도시의 젊은이들을 끌어들이는 노력을 해 보면 어떨까? (물론 내가 모르는 많은 일들이 이미 벌어지고 있겠지만) ‘한달살기’를 원하는 도시인들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던가 지역 주민들 교육을 하는 활동이 필요해 보인다. 특히 젊은 층이 접근하기 쉬운 콘텐츠의 형태로 접근할 때 더 효과적이지 않을까 생각된다.

성과중심 경쟁사회에 환멸을 느끼는 사람들, 그 삶에서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많이 있고 그들이 가서 지낼 만한 슬로우 라이프에 어울리는 지방이 많이 있을 것이다. 우리 지방 도시들이 더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우리의 삶이 밸런스를 갖게 되고 지방은 다시 활력을 얻게 되는데 크리에이터들의 좋은 콘텐츠가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출처 : 매드타임스(MADTimes)(http://www.madtimes.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