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28 한국인의 기원 우리 민족의 기원은 어떻게 되는지는 상당히 궁금한 주제였다. 은 그 이야기를 해 준다. 서울대 지리학과의 박정재 교수의 저술로, SNS 광고를 통해 알게 된 책이었다. 지리학자가 이런 저서를 낸다는 것이 특이하게 생각되었다. 기후학, 고고학, 언어학, 고유전학이 다 담긴 이야기다. 어떤 부분은 학문적이고 어렵게 보이지만대게는 일반인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내용이다. 결국 기후 변화가 인류의 이동을 만들어 왔고 한민족의 형성도 기후 변화에 따른 주면 인류의 이동에 의한 것이라는 귀결이다. 은 읽는 재미가 있는 책이다. 더보기
#127 이주하는 인류 인류의 이주는 매력있는 과학 주제이다. 관련된 여러 책을 본 적이 있다. 그런데 이 책, 는 아주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의 저자는 학자가 아니라 BBC 뉴델리 특파원 출신의 저술가인 샘 밀러이다. 자기 개인의 이야기와 인류의 서사를 잘 교차해 가며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더보기
#126 포스트 매스미디어 필자가 광고계에서 현업으로 일하던 시절인 80년대부터 2010년 정도 까지는 매스미디어시대였고 특히 TV의 영향력은 압도적이었다. 광고회사의 실력은 두가지로 판정을 받은 것이나 마찬가지 였는데 첫째는 TV CF를 잘 만드는 능력이고 두번째는 TV 방송국의 인기시간대를 잘 확보하는 능력이었다. 그런데 시대가 변하더니 TV방송국이나 대형신문사들이 수입이 급감해서 쩔쩔매게 되었다. 매스미디어를 소비하던 시대가 지나간 것이었다. 는 연세대학교 김용찬 교수의 2023년 저서이다. 이 책에서 김용찬은 우리가 사는 기대를 '포스트매스미디어' 시대로 규정한다. 우리가 사는 세상, 사회를 미디어 측면에서 설명하는 능혁이 독창적이고 탁월하다. 더보기